배틀을 하다보면 가끔 Disgorger라는 넘이 푹푹 쑤시는데 갑자기 포이즌 24뎀 떠서 녹아버리는 경우를 볼수 있습니다. 특이하기도하고 재밌어 보이기도 하는 컨셉인데 저런 플레이를 하려면 돈을 투자해야 한다는 사실!! ㅇ_ㅇ;; 과연 투자할 만한 가치가 있나 한번 볼까요?
쓸만한 독덱을 완성 시키려면 새크리피셜 챔버(Sacrificial Chamber)는 필수이며
이 새크리챔버를 얻으려면 아래 박스 또는 캐시를 구입해야 합니다.
Conflict Box
컨플릭트 박스는 2015년 4월 말 있었던 Tartarus Crusade 이벤트 첫주에 공개된 이벤트 박스 입니다. 구성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Vindicator
Amphict, Ayloth, Dauntless
Legendary
Overland, Outcast, Hobgoblin, Ryu, Phalanx
Epic
Watchdog, Soul Seeker, Torture Chamber, Rixor, Liberator
Rare
Skyfinder, Quadrishot, Sanguinary Stalk, Worldbreaker, Honor Guard
위 카드중 블써 독덱에 쓸만한 카드를 한번 살펴볼까요?
빈디 Aylordh(Ayloth쿼드) 입니다. 높은 카운터로 빠른턴 카드를 잡는데 유효하나 잼카드와의 1:1에서 가끔 답답한 상황이 종종 있습니다. 기본뎀이 들어와야 카운터를 치는데 잼을 페이백시킴으로 인해 기본공뎀이 안들어와 카운터 발동이 안될 수 있습니다. 카운터로 죽일수 있는 상황을 뒤엎어버릴 수 있으니 계산 유의 하시길 바랍니다. |
빈디 Lionheart(Dauntless쿼드) 입니다. 프젠인데다가 오버로드 2가 있어서 일단 소개는 했으나 심에서는 빠지는 군요 독덱에선 전혀 도움이 안되는 카드입니다. 인피+오버가 같이 붙은 카드가 먼저 발동되어 뒤 올스트 카드에 오버로드를 공급해줘야 하는데 Aylordh 보다 먼저 깔경우 인피블 시너지를 못받기 때문에 쓸모가 없어지는 경우 입니다. 애초에 스트올과 오버가 같이 붙으려면 스트 수치가 6이상은 되어야 쓸만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레젼 Disgorger(Hobgoblin쿼드) 입니다. 인히빗과 피어스 포이즌이 고루 갖춰진 공격형 카드입니다. 피어스로 프텍과 아머를 간단히 뚫어 버리고 인히빗으로 각종 힐 버프를 막아버린후 포이즌 독뎀으로 녹여버리는 전략을 쓸수 있습니다. |
에픽 Sacrificial Chamber(Torture Chamber쿼드) 입니다. 드디어 독덱의 핵심 카드가 나왔습니다. 인핸스 포이즌, 포이즌 수치를 늘려주는 중요한 카드입니다 . 플러리로 인하여 매 4턴마다 14만큼의 포이즌 스킬을 강화합니다. 위의 디스고저 카드 독뎀이 10에서 24뎀으로 변경되는 순간이죠. 게다가 블써 힐올이 같이 붙어있어 부족한 힐량을 보충해 주기도 합니다. |
자 그럼 이제 위의 카드를 가지고 덱 구성을 해보도록 합시다.
01. 49%덱 DDD 서지모드(4박스 팩 / 24720wb)
Arkadios, Aylordh, Tormentor, Sacrificial Chamber, Disgorger, Sacrificial Chamber, Disgorger, Overmind Bane, Sacrificial Chamber, Tormentor, Crypt Burrower
쇽과 아스트랄 처럼 프텍기반의 느린덱은 완벽하게 부셔버리네요. 하맨 덱에도 60% 이상의 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외의 덱에서는 그냥저냥 별로인듯 싶네요.
자 이 독덱에 들어간 나머지 카드들을 살펴볼까요
이번 8월 신퓨 Tormentor 입니다. 올랠리 4는 블써 독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합니다. 초반카드로 내는 이유이기도 하구요 위큰으로 다운된 공격력을 회복시켜 본 카드는 물론 뒷 카드들이 어떻게든 데미지가 들어가게 하여 독뎀을 성공적으로 넣기 위함이죠. 이 뒤로 챔버, 디스고져를 차례대로 깔수만 있다면 순조로운 진행이 될 것입니다. 단 하나 주의 할점은 제노 카운터덱에는 독으로 녹여버리다가 먼저 녹아버리는 경우가 비일비재 합니다. |
5월 Gore Typhon Raid 보상으로 나왔던 빈디 카드입니다. 포이즌 12.. 독덱에 매우 적합한 카드이며 꼭 독덱이 아니어도 레인보우 덱등 여러 덱에서 활용가치가 매우 높은 카드입니다. |
크립트 버로워 PvP 보상카드입니다. 작년 2014. 11월에 처음 선보인 카드며 2015년 1월, 5월에 브롤 보상카드로 나왔으니 보급률은 높은 편이라고 보입니다. 독덱에서 중요도는 많이 떨어지나 상황이 팽팽하여 턴이 길어지 경우 후반부에서 빛을 발할수 있는 카드입니다. |
이번 블써 신퓨를 섞어서 뭔가 좀 발전할 방향이 있을까 봤지만 그닥 만족스러운 승률은 나오지 않네요. 24720의 워본, 약 200만원이 들어간 덱치고는 승률이 너무 저조합니다. 왠지 빈디카드가 있으나 마나일것 같은데 빈디를 버리고 박스2개 분량인 12360워본 약 100만원 정도로 덱을 재구성 해보겠습니다.
02. 48%덱 DDD 서지모드(2박스 팩 / 12360wb)
Arkadios, Tormentor, Sacrificial Chamber, Disgorger, Sacrificial Chamber, Tormentor, Overmind Bane, Sacrificial Chamber, Crypt Burrower, Ezamit Tranq, Tormentor
아 역시 1% 차이뿐이 안나네요. 하지만 양극화가 살짝 심해졌습니다. 승률이 잘 안나오던 빠른덱의 승률이 더 떨어진 반면 제노카운터덱 상대로는 승률이 살짝 더 높아졌습니다.
승률이 거기서 거긴데 좀더 저렴하게 구성할 방법은 없을까? 캐시로 눈을 돌려봅시다.
디케이 캐시는 바로 전달인 6월에 나왔었습니다. 디스고져와 챔버가 들어간 캐시가 다시 나올런지는 모르겠네요. 아래는 캐시 구성 목록입니다.
Legendary
Hobgoblin
Epic
Rust Chomper, Mantis, Flayer, Torture Chamber
Rare
Pestilent Injector, Strangler, Bloodsucker, Microgen, Eyegorger, Sanguiphage, Feral Scorpion
박스에는 없었던 카드 소개입니다.
에픽 Rust Engulfer(Rust Chomper쿼드) 입니다. 심결과에서는 빠집니다. |
에픽 Mantis Thresher(Mantis쿼드) 입니다. 0턴 카드여서 그런지 심에 항상 포함됩니다. |
에픽 Sheol Flayer(Flayer쿼드) 입니다. 1턴 올스트2 이지만 덱 컨셉하고 안맞는지 역시 심결과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03. 42%덱 DDD 서지모드 (4캐시 팩 / 2880wb)
Arkadios, Tormentor, Sacrificial Chamber, Tormentor, Disgorger, Mantis Thresher, Tormentor #2, Zorbo the Master, Dreamhaunter, Crypt Burrower
캐시로 덱을 구성해보니 42% 뜨네요 좀더 조정해봅니다.
04. 41%덱 DDD 서지모드 (4캐시 팩 / 2880wb)
Arkadios, Tormentor, Sacrificial Chamber, Tormentor, Disgorger, Overmind Bane, Living Tomb #2, Mantis Thresher, Tormentor, Crypt Burrower
리빙툼이 2개나 들어가는 덱이됐네요. 음 좀더 조정해봅니다.
추가 카드 소개
베이스셋 퓨전인 Living Tomb 입니다. Entrails Pool과 Draconian Matriarch가 필요하죠. 빠른 힐과 랠리가 있어 방어 스킬이 부족한 블써 서폿용 건물로 적합합니다. |
블써 신퓨 Tormentor 카드를 4개로 고정시켜놨는데 심을 돌리다보니 좀 더 필요할수도 있겠다 싶어서 10개로 조정하고 다시 돌려봤습니다.
05. 44%덱 DDD 서지모드 (4캐시 팩 / 2880wb)
Arkadios, Tormentor, Sacrificial Chamber, Disgorger, Tormentor #2, Mantis Thresher, Tormentor #2, Overmind Bane, Crypt Burrower
Tormentor가 5기나 되니 스펨덱이라 해도 되겠네요. 이거 그냥 무과금 스팸덱도 가능할것 같네요.
06. 40%덱 DDD 서지모드 (Tormentor 스팸덱)
Dracorex, Tormentor #3, Zorbo the Master, Tormentor #3, Dreamhaunter, Tormentor, Crypt Burrower
결국 무과금 스팸덱까지 왔는데 승률 분포를 보면 그닥 좋은덱은 아닙니다. 숔덱 카운터에 최적화 되어서 평균 승률이 40%된 느낌?
결론
처음 나온 01,02번 박스덱이 캐시덱과 승률차이가 6~8% 정도 안나지만 승률 분포를 볼때 박스덱이 여러상황에서 좀더 유리한 면이 보이네요. 하지만 100~200만원을 써서 만들 덱은 아니라 생각됩니다. 같은 금액이면 슬릭덱으로 가거나 차라리 임페팩을 사서 앰부시를 만드는게 정신건강상 더 좋다고 생각됩니다.
무과금 덱의 경우 토멘터 7기 까지 왔는데 7기나 만들면서 승률 40%도 좀 별로라 생각됩니다. 또한 06번 무과금덱의 승률 40%도 너무 특정덱에만 몰려 있어서 숔덱이나 아스트랄덱 외엔 거의 패하는 덱이라 보면 됩니다. 요샌 숔덱도 잘 안보이는데 체감 승률은 더 떨어질것 같네요.
심결과가 믿을게 못된다는 말이 종종 들리죠 특히 카드 특성들을 머리속으로 굴려보고 직접 덱을 구상하는 고수분들이 더욱 그런 경향이 있는데.. 이런 고수분들 감이 맞는겁니다!
예를 들어 06번 무과금 덱을 살펴보면 9번부터 30번덱 사이 14개의 덱이 20% 미만의 승률입니다. 저 14개의 덱은 아무리 열심히 메뉴얼로 돌린다 하더라도 패할경우가 다분하죠. 8~90% 이상의 승률은 아무카드나 막 내도 거진 승리합니다. 말씀드리고자 하는 점은 중간단계의 승률을 가진 덱입니다. 승률이 60%만 넘어가면 그 덱을 메뉴얼로 어떻게 운영하느냐에 따라서 80~90% 승률이 나올수도 있고 반대로 자신의 덱과 상대덱의 특성도 모르고 이해도 못한상태에서 거지같이 메뉴얼로 운영하면 30~40%대 승률로 떨어질수도 있다는 것이죠.
따라서 06번과 같이 중간 단계 승률은 별로 없고 90~100%승률과 0~20% 승률로 양분화 된 경우라면 메뉴얼로 아무리 열심히 돌려도 더 좋은 결과를 얻기는 힘듭니다. 아무리 열심히 머리쓰고 잘 굴려도 숔덱은 필승이고 나머지 덱은 필패가 될뿐이죠. 하지만 01번 덱과 같은 경우라면 60~70%대의 승률을 메뉴얼 운영으로 얼마든지 80~90%대까지 올릴수 있으며 이런경우 심결과는 49%덱이지만 전체적인 체감승률은 얼마든지 60% 이상이 나올수 있다는 것이죠.
결론은 블써 독덱에 100~200쓰지 마시고ㅜㅜ 무과금 임페 앰부쉬덱이나 제노하멘덱을 하세요. 그냥 거지같이 해도 승률 절반 이상은 보장 됩니다. 블써는 언제쯤 좋아지려나..
'Tyrant Unlesh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빠른인피스트 덱의 강자 Brisk Box 플라즈믹 쉘 (0) | 2015.08.03 |
---|---|
슬릭 빔샷 어떤가요? (0) | 2015.07.31 |
8월 4일 새 퓨전 리스트(베이스 셋) - 타이런트 언리쉬드 (1) | 2015.07.29 |
7월 29일 새로 열린 사이드미션 소개 (0) | 2015.07.29 |
피해야 할 퓨전 리스트 (0) | 2015.07.25 |